top of page
김형미,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
2024년 5월 31일
단조로운 다스림, 그 무한의 변주 - 최명영의 작품세계 2023
‘한국적 모더니즘 회화’ 혹은 ‘한국의 단색화’는 우리 현대미술사의 흐름 속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. 한국적 모더니즘의 얼개와 맥락 속에서 놓치지 말아야할 주요 작가 중 한 사람으로 작가 최명영을 들 수 있다. 1941년 황해도 해주에서...
24
The Creative World of Choi Myoung Young: Controlled Monotony, Infinite Variations 2023
Korean modernist painting, or dansaekhwa (monochrome painting), holds a central position in Korean art history. Within the discussion and...
5
서성록, 안동대 명예교수, 미술평론가
2024년 5월 29일
몸짓의 흔적 - ‘안으로 열린 풍경’ 2023
이번 아트조선 개인전에 출품된 최명영의 작업은 종이를 지지체로 사용한 작품들로 이루어져 있다. 종래에 캔버스로 된 회화작품만 보아온 사람들로서는 작가의 색다른 측면을 엿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. 이름하여 ≪최명영 Works on...
10
Lee Jin Myoung
2022년 9월 1일
The Conditional Planes 2022
Introduction There is nothing on earth that does not change. If there is a single thing that never changes in the world, it is the truth...
9
이진명, 미술비평ㆍ미학ㆍ동양학
2022년 9월 1일
평면조건(The Conditional Planes) 2022
1. 들어가는 말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.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면, 세상의 모든 것은 변화한다는 진리 하나뿐이다. 동아시아의 진리는 변화 속에서 드러난다. 동아시아의 철학에서 불역(不易)은 있을 수 있다. 그러나 불변(不變)은...
11
Soon Chun Cho and Barbara Bloemink
2020년 10월 2일
자연의 색채 | 한국의 모노크롬 아트 2008
“내면이 겪는 과정은 외부적인 충족조건이 필요하다.” – 루드빅 비트겐슈타인 모더니즘과 미니멀리즘의 선구적인 이론가 마이클 프라이드가 유행시킨 표현을 빌리자면, 최명영은 “의미가 곧 형태인 정자正字추구자literalist”이다. 이승조와 서승원과...
4
THE COLOR OF NATURE | MONOCHROME ART IN KOREA 2008
“An inner process needs outward criteria.” – Ludwig Wittgenstein To borrow a term popularized by Michael Fried, a leading theorist of...
2
김용대(金容代)
2019년 9월 30일
平面條件 (평면조건) 2019
우리 모두가 읽고 쓰는 법을 통하여 텍스트를 만들어내고 있지만 최명영은 인간의 공통언어가 될 수 있는 최초의 언어를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삼고 있다. 다양한 문화와 영역을 가로질러 더 이상 특정한 종족이나 나라에 매여있지 않은 언어를 추구하고...
5
Yong-Dae, Kim
2019년 9월 30일
Conditional Planes 2019
Most people create texts mainly through the methods of reading and writing. Choi Myoung Young, however, uses the origins of language,...
2
김용대(金容代)
2018년 10월 3일
平面條件 (평면조건) 2015
최명영 작업의 준비물은 물감과 몇 가지 도구 그리고 캔버스뿐이고 그것은 작업의 결과 또는 완성도와는 깊은 관계가 없다. 그리고 그 재료가 최명영을 통하여 하나의 예술적 오브제로 변화하는 과정은 이름 지을 수 밖에 없는 범주에 속하는 일이다. 그의...
0
Yong-Dae, Kim
2018년 10월 2일
Conditions to be a Plane 2015
In terms of preparation in Myoung Young Choi(hereinafter referred to as “Choi”)’s work, there’s only some paint, a few painting tools and...
1
SPECULATION, ACTION, MATERIAL & CONDITIONAL PLANE
Choi, Myoung young's <Conditional Plane> implies his whole working process. It tries to reveal the delicate change of material through...
1
조광석(조형예술학 박사 / 미술평론가)
2018년 9월 28일
사유, 행위, 질료 그리고 평면조건
최명영의 <평면조건>에서는 이제까지의 그의 작업 변화 과정이 함축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. 색체의 단순화를 통하여 섬세한 질료의 변화를 화면 위로 드러내고자 하며, 화면 위의 질료의 표정은 행위를 내포함으로써 형상성을 초월한다....
4
千葉成夫
2018년 8월 31일
「心・感覚・身体」の空間-崔明永の絵画
1 深化という新しさ 2015年9月、ソウルに崔明永個展を見に行った(「崔明永・平面條件」展、The Page Gallery、8~9月)。それは、1975年の作品から新作まで、いわば回顧展を兼ねた新作展で、かなり規模が大きな展示だった。崔明永さんに会うのも本当に久しぶりで...
1
치바 시게오
2018년 8월 31일
「마음, 감각, 신체」의 공간 – 최명영의 회화
1, 심화라는 새로움 (새로운 심화) 2015년 9월 서울에서 열린 최명영의 개인전을 보러갔다. (최명영 / 평면조건 전, The Page Gallery, 8-9월). 그곳에는 1975년의 작품에서 신작까지 이를 테면 회고전을 겸비한 신작전으로...
2
변종필(미술평론가)
2018년 8월 31일
최명영, 물질의 정신적 환원을 위한 평면성 탐구
1970년대 한국미술은 1960년대 말부터 징후를 보인 예술의 본질적 물음에 대한 움직임이 다양한 시각과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현실화된 시기이다. 이 시기 예술적 개념을 탐구하던 미술계 흐름은 전위적 방법을 통해 미술의 본질을 되묻고자 했다....
6
이일(李逸, 美術評論家)
2018년 6월 30일
「余白空間」으로서의 회화세계 1992
- 다시 崔明永의 「平面條件」에 대하여 – 1976년 이래의 「平面條件」. 자그마치 15년여에 걸쳐 계속해 온 일관된 崔明永의 작업이다. 물론 거기에는 화풍상의 변화는 있었다. 대략 살펴보자면 수평구조의 횡적(橫的)구성(이 시기의 작품을 그는...
2
이일(李逸, 美術評論家)
2018년 5월 31일
회화적 「場」으로서의 繪畵 1986년
- 崔明永의 「平面條件」에 대하여 – 「平面條件」이라는 명제를 놓고 崔明永이 작업을 계속하여 온 지가 벌써 10년을 헤아린다. 「平面」 주지하다시피 이 평면은 회화작품에 있어서의 제일 조건이다. 그리고 19세기 말경, 한 폭의 회화작품이란...
1
최명영
2018년 1월 4일
平面條件과 行爲의 다스림 1986
나는 몇 해 전 가을에 문득 “散策”이라는 것을 생각해 내고 그 담담한 反復-回歸가 지니는 의미에 주목한 바 있다. 반복되는 우리의 日常事나 備忘錄의 온갖 約束, 예기치 않았던 事件들은 실상 온통 点과 点 그 자체로 인식 될 뿐 아니라 그 点과...
2
신항섭(미술평론가)
2018년 1월 3일
최명영 論 1982
최명영(崔明永), 그는 평면작가(平面作家)이다. 일반적으로 “회화”라고 하면 곧바로 평면작업을 의미하거늘 굳이 최명영만을 평면작가라고 전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? 그 이유는 최명영의 작업이 단순히 평면위에 「무엇」을 그린다거나 표현함에 있지 않고...
10
최명영
2018년 1월 2일
「주어진 素材들에 접촉하는 行爲의 다스림」 1982
「단조로움」은 일견 나의 작업에 가장 적절히 들어맞는 말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. 텅빈듯한 사각(四角)의 캔버스, 전면을 반복하여 도포(塗布)하는 행위, 튀어나옴이 없이 균질(均質)하게 펑퍼짐한 질료(質料), 상충(相衝)작용이 없는...
1
이일(李逸, 美術評論家)
2017년 12월 31일
條件지어진 平面 1980년
- 崔明永의 「平面條件」시리즈 – 근래에 와서 平面의 문제가 새롭게 회화의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듯이 보인다. 崔明永도 이 문제에 관심을 두고 있는 우리나라 화가의 대표적인 한 사람이다. 그러나 그의 문제 제기는 보다 기본적인 平面에로의...
1
이일(李逸, 美術評論家)
2017년 5월 31일
還元的 置換의 世界 1976년
-崔明永 作品展에 붙여- 7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崔明永의 작품은, 서로 대비되는 存在方式으로서 받아들여진 物質性의 근원적 實在의 추구라는 테마로 일관되어 있는 듯이 보인다. 對比는 말하자면 物質의 感覺的 現存과 그 現存에 오히려 가리워지고 있는...
1
최명영
2016년 12월 31일
전위예술 소고 -그 실험적 전개를 중심으로- 1972
『홍익』14호, 1972년 1 지난 연말, 전위적인 모임으로 지칭되는 한 전시회가 경복궁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최된 바 있다. ‘탈·관념(脫·觀念)의 세계(世界)’라는 주제가 의미하듯이 오늘의 미술이 관념 일변도의 극한 상황에서 어떻게 구체적이며...
9
bottom of page